100만명이 거주하고 있는 방글라데시의 로힝야족 난민캠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AFP통신은 14일(현지시간) 방글라데시 콕스 바자르 지역의 보건 관계자가 “양성 판정을 받은 난민 2명을 격리 조치했다”고 발표한 것을 인용해 보도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한 명은 로힝야족 남성이며 다른 한 명은 난민 캠프 근처에 거주하는 현지 남성이다”라고 전했다.

BBC방송은 난민 1900명이 격리돼 검사를 앞두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로힝야족 난민 캠프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카탈린 버카루 WHO 대변인은 '신속 조사팀'을 파견했으며 검사 및 격리조치를 위해 접촉자들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난민캠프에는 미얀마 정부의 박해를 피해 이웃 국가인 방글라데시로 탈출한 로힝야족 난민들의 거주지로 세계 최대 규모이다.


이 난민캠프는 천과 대나무를 엮어 만든 임시 건축물이 밀집해 있고, 좁은 골목에는 하수가 흐르는 등 환경이 열악해 캠프 내 대규모 확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영리기구인 국제구호위원회(IRC)에 따르면 캠프 내 난민은 100만명 규모로 1㎢당 4만~7만명이 거주한다며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인구 밀도보다 최소한 1.6배 높다"라고 설명했다.


방글라데시 당국은 지난달 초 난민 100만명을 포함해 총 340만명이 거주하는 콕스 바자르 지역에서 확진자가 연이어 나오자 지역 내 이동을 전면 봉쇄하고 모든 차량의 캠프 통행을 제한 한 바 있다.


또한, 캠프 내 구호단체 인원을 80% 감축하는 등 바이러스 차단에 힘썼지만, 결국 바이러스가 방역망을 뚫었다.


샘 브라운백 미 국무부 국제종교자유 담당 대사는 이와 관련해 "난민 캠프가 믿지 못할 정도로 혼잡하다"며 "불행히도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매우 빠르게 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힝야족


미얀마 서부의 라카인 주()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민족을 가리킨다. 로힝야족은 전 세계에 약 220만 명 이상이 분포하는데, 이 가운데 약 130만 명이 미얀마에 거주하며 그중에서도 약 100만 명이 라카인 주에 살고 있다. 미얀마와 국경이 맞닿은 방글라데시에도 30만~50만 명이 거주하며, 사우디아라비아에 약 40만 명, 파키스탄에 약 20만 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언어는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로힝야어를 사용한다.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이로 인하여 불교도가 대부분인 미얀마에서 오랫동안 차별을 받고 있다.

로힝야족은 자신들이 대략 8~9세기 무렵부터 아라칸(지금의 라카인) 지역에 정착하였던 아랍 상인들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미얀마의 주류를 이루는 버마족과 정부는 로힝야족을 19세기 후반 영국의 식민지 시절에 방글라데시나 주변국에서 온 불법 이주자로 간주하고 벵갈리(Bengali)라 비하하면서 미얀마를 구성하는 130여 소수민족의 하나로 인정하지 않는다.

역사

1885년 영국은 미얀마를 식민 지배하면서 수탈한 대규모 농지를 경작할 노동력으로 미얀마 근처에 있는 인도계 무슬림들을 이주시켰고, 이들은 불교도인 토착민들과 문화적·종교적 갈등을 빚었다. 또한 제1차세계대전 이후 인도계 무슬림들이 미얀마로 들어와 가난한 토착민들을 상대로 고리대금업을 하면서 원성을 샀다. 이러한 배경하에 1920년대 이후 토착민들 사이에서 민족주의운동이 일어나면서 불교도와 무슬림 간의 종교 갈등으로 번지게 되었다.

1948년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래 로힝야족은 자치권을 요구하였으나, 1962년 쿠데타로 집권한 네 윈 정권이 '버마식 사회주의'를 앞세워 소수민족의 자치권을 전면 거부하고 버마족과 불교도 위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로힝야족에 대한 박해가 본격화되었다. 학교에서는 로힝야어로 수업을 할 수 없게 되었으며, 주요 거주지인 아라칸 주의 명칭도 버마어인 라카인 주로 바뀌었다.

1982년 군부정권이 1823년 이전부터 해당 지역에 거주하였음을 입증한 소수민족에게만 국적을 부여한다는 내용으로 시민권법을 개정함으로써 로힝야족은 시민권이 박탈된 무국적자로 살아가고 있으며, 결혼과 출산·주거 이동 등에서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2012년에는 로힝야족과 불교도 간의 분쟁으로 촉발된 유혈사태로 라카인 주에 비상사태가 선포된 가운데 로힝야족 200여 명이 숨지고 14만 명이 피난하여 미얀마를 떠났다. 이 사태로 유엔은 로힝야족을 '세계에서 가장 박해받는 소수민족'의 하나로 규정하였다.

2014년 미얀마 정부는 로힝야족에게 국적을 부여하는 방안으로 '라카인 행동계획'을 발표하였으나, 1948년 이전부터 조상이 미얀마에 거주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로힝야족이 아닌 벵갈리로 등록할 것을 전제로 하여 실효성은 없는 것이었다. 또한 2016년 10월에 라이칸 주의 국경초소 습격 사건이 발생하자 로힝야족의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배후로 지목되었고, 이들을 소탕하는 군사작전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로힝야족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자행되어 국제사회에서 인종청소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난민 문제

미얀마의 군부 정권은 1960년대부터 로힝야족에 대하여 불교 개종을 강요하고 토지 몰수와 거주지 제한, 강제 노동 등의 탄압을 가하였다. 1978년에는 무슬림 반군 토벌을 명분으로 군사작전을 펼쳐 대규모로 로힝야족을 검거하였으며, 이 작전을 피하여 약 20만 명의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피난하였으나 1만 명 이상이 굶어 죽고 나머지는 대부분 미얀마로 강제 송환되었다. 1991~1992년에도 약 25만 명이 박해를 피하여 방글라데시로 피난하였으며, 2012년의 비상사태 때에도 약 14만 명이 미얀마를 떠났다.

로힝야족 난민들은 인접국인 방글라데시에서 국경을 폐쇄하는 등 난민 유입 방지 조치를 취하자 배를 타고 이슬람 문화권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또는 태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지로 향하였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난민으로 수용된 숫자는 일부로서 그나마 난민 캠프에서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어느 나라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들은 이른바 보트피플이 되어 인도양을 표류하는 생활을 하고 있다. 2015년 유엔난민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2012년 이후 보트피플이 된 난민은 8만 6000명에 이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로힝야족 [Rohingya] (두산백과)



+ Recent posts